2. 의존성 역전하기
단일 책임 원칙
정의
하나의 컴포넌트는 오로지 한 가지 일만 해야 하고, 그것을 올바르게 수행해야 한다.
컴포넌트를 변경하는 이유는 오직 하나뿐이어야 한다.
만약 컴포넌트를 변경할 이유가 오로지 한 가지라면 컴포넌트는 딱 한 가지 일만 하게 된다. 만약 컴포넌트를 변경할 이유가 한 가지라면 우리가 어떤 다른 이유로 소프트웨어를 변경하더라도 이 컴포넌트에 대해서는 전혀 신경 쓸 필요 없다.
현실은 컴포넌트 간의 의존성을 통해 너무나도 쉽게 변경할 이유라는 것이 전파된다.
어떤 컴포넌트의 의존성 각각은 이 컴포넌트를 변경하는 이유 하나씩에 해당한다. 전이 의존성(transitive dependency, 프로그램이 참조하고 있는 컴포넌트로부터 전의된 의존성)이라고 하더라도 말이다.
컴포넌트 C를 변경할 유일한 이유는 새로운 요구사항에 의해 C의 기능을 바꿔야 할 때뿐이다. 반면 컴포넌트 A의 경우에는 모든 컴포넌트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어떤 컴포넌트가 바뀌든지 같이 바뀌어야 한다.
의존성 역전 원칙
계층형 아키텍처에서 계층 간 의존성은 항상 다음 계층인 아래 방향을 가르킨다. 단일 책임 원칙을 고수준에서 적용할 때 상위 계층들이 하위 계층들에 비해 변경할 이유가 더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영속성 계층에 대한 도메인 계층의 의존성 때문에 영속성 계층을 변경하면 도메인 계층도 변경해야 한다.
의존성 제거하기
코드상의 어떤 의존성이든 그 방향을 바꿀 수(역전시킬 수)있다.
도메인 코드와 영속성 코드 간의 의존성을 역전시켜서 영속성 코드가 도메인 코드에 의존하고, 도메인 코드를 ‘변경할 이유’의 개수를 줄여보자. 엔티티는 도메인 객체를 표현하고 도메인 코드는 이 엔티티들의 상태를 변경하는 일을 중심으로 하기 때문에 먼저 엔티티를 도메인 계층으로 올린다.
영속성 계층의 리포지토리가 도메인 계층에 있는 엔티티에 의존하기 때문에 두 계층 사이에 순환 의존성(circular dependency)이 생긴다. 도메인 계층에 리포지토리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만들고 실제 리포지토리는 영속성 계층에서 구현하게 하는 것이다. 인터페이스 도입으로 영속성 계층이 도메인 계층에 의존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클린 아키텍처
클린 아키텍처란 도메인 코드가 바깥으로 향하는 어떤 의존성도 없어야 함을 의미한다. 대신 의존성 역전 원칙의 도움으로 모든 의존성이 도메인 코드를 향하고 있다.
아키텍처의 코어
클린 아키텍처 계열에서 도메인 계층과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합쳐 application core라고 부른다.
아키텍처의 코어에는 주변 유스케이스에서 접근하는 도메인 엔티티가 있다.
코어 주변으로 비즈니스 규칙을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다른 모든 컴포넌트들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지원은 영속성을 제공하거나 UI를 제공하는 것 등을 의미한다.
또한 바깥쪽 계층들은 다른 서드파티 컴포넌트에 어댑터를 제공할 수 있다.
ORM 프레임워크를 사용한다면?
도메인 계층은 영속성 계층을 모르기 떄문에 도메인 계층에서 사용한 엔티티 클래스를 영속성 계층에서 함께 사용하지 않고 두 계층에서 각각 엔티티를 만들면 된다. 도메인 계층과 영속성 계층이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두 엔티티를 서로 변환해야 한다는 뜻이다.
육각형 아키텍처(헥사고날 아키텍처)
육각형 아키텍처는 애플리케이션 코어가 각 어댑터와 상호작용하기 위해 특정 포트를 제공하기 때문에 ‘포트와 어댑터’ 아키텍처라고도 한다.
육각형 내부에는 도메인 엔티티와 이와 상호작용하는 유스케이스가 있다.
육각형에서 외부로 향하는 의존성이 없기 떄문에 마틴이 클린 아키텍처에서 제시한 의존성 규칙을 그대로 적용된다.
육각형 바깥에는 애플리케이션과 상호작용하는 다양한 어댑터들이 있다.
왼쪽에 있는 어댑터들은 애플리케이션을 주도하는 어댑터들이다.
오른쪽에 있는 어댑터들은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주도되는 어댑터들이다.
코어와 어댑터들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 코어가 각 포트를 제공한다.
출처
'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들면서 배우는 클린 아키텍처] 4. 유스케이스 구현하기 (2) | 2022.01.30 |
---|---|
[만들면서 배우는 클린 아키텍처] 3. 코드 구성하기 (0) | 2022.01.29 |
[만들면서 배우는 클린 아키텍처] 1. 계층형 아키텍처의 문제는 무엇일까? (2) | 2022.01.22 |
[클린코드] 2장. 의미 있는 이름 (0) | 2021.10.04 |
[클린코드] 1장. 깨끗한 코드 (0) | 2021.10.04 |